총학, 재수강 최대 학점 B+에서 A 추진

-대총서 감사 결과 등 안건 논의 -총학 사업 연달아 가결 '순풍' -총장 선거 학생 비율 확대도 추진

2023-03-17     조승완 기자

우리 대학 총학생회(총학)가 동일 과목 재수강 시 받을 수 있었던 최대 학점을 B+에서 A로 바꾸는 것을 추진한다. 동시에 총장직선제 학생 참여 비율 등 주요 사업계획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지난 3월 14일 우리 대학 성학관에서 총학생회 국장 6인이 인준을 받고 있다. [조승완 기자]
지난 3월 14일 우리 대학 성학관에서 열린 '2023학년도 상반기 민족효원대의원총회’ 결과 (c)조승완 기자

지난 3월 14일 오후 ‘2023학년도 상반기 민족효원대의원총회(대총)’가 우리 대학 성학관에서 열렸다. 대총은 학생총회 다음의 최고 의결기구로 △총학생회 △단과대학 학생회 △독립학부 학생회 △학과 학생회 △동아리연합회 등의 회장·부회장으로 구성된다. 이날 대총에는 대의원 및 참관인원을 포함한 재적인원 125명 중 91명이 참석해 △인준안건 2건 △논의안건 1건 △보고안건 1건을 심의했다.

이날 총학이 올린 인준안건은 모두 통과됐다. 우선 총학 중앙집행위원 인준안건 1호에 따라 6명의 국장들이 만장일치로 선출됐다. 김요섭(국어교육, 20) 총학생회장은 “회장단과 국장들이 힘을 합쳐 부산대학교의 발전을 위해 밤을 지새우겠다”며 “의견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가감 없이 전달해주시면 의견 반영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인준안건 2호 ‘총학 각 국별 사업계획 인준’ 안건도 대다수의 동의를 얻어 가결됐다. △교육정책국(5건) △기획조정국(4건) △대외협력국(4건) △소통홍보국(5건) △재정사무국(2건) △학생복지국(10건)으로 총 30건의 사업계획이 통과됐다. 여기에는 총학의 출마 공약(<채널PNU> 2023년 3월 2일 보도)을 비롯하여 △재수강 학점 완화 △총장직선제 학생 참여 비율 확대 △효원방범대 △롯데 자이언츠 등 스포츠 경기 단체 관람 △기숙사 대응팀 △보조 배터리 대여소 도입 △예비군 버스 도입 등이 포함됐다. 재정사무국 김세현(경제학, 22) 국장은 “학생 자치활동이 어려운 시기가 찾아왔다”며 “학생회가 전반적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총학이) 앞장서 투명성 제고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2 하반기 정기감사 결과’도 보고됐다. △간호대학(60점) △정보의생명공학대학(60점) △생활과학대학(35점) 학생회 중 생활과학대학만이 감사시행세칙 제4장 제25조 2항에 따라 징계 대상에 올랐다. 해당 단위들은 단위대표자가 변경되었음을 참작 받아 월 단위 결산안은 제출하지 않게 됐다. 

감점이 큰 생활과학대학은 예산 집행 당시 단위대표자의 ‘사과문 게재’를 징계받았다. 제1 감사위원회 최한결(수학, 22) 위원장은 "감사 점수 60점은 월 단위 결산안 제출을 징계 기준으로 두고 있다"며 "단위들의 감점 사유가 악의적이지 않았으며 단위대표자가 변경된 점을 감안하여 징계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논의안건 ‘1호 총학 상반기 예산안 심의’ 역시 과반수 동의로 인준됐으나 추후 중앙운영위원회(중운위)에서 추가적인 논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칙’ 제71조에 따르면 총학 및 특별기구는 사업계획서와 함께 예산안을 작성해 개강 후 첫 중운위에서 가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이를 이행하지 않은 탓이다. 김 회장은 “대총을 예정했던 일정보다 빠르게 개회하면서 준비가 급박해져 해당 부분을 놓쳤다”며 “학우분들께 사과의 말씀을 전한다”고 말했다. 이어 “면밀한 검토를 통해 3분기, 하반기 예산안은 총학생회칙 등을 충분히 준수하여 인준받도록 시정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