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학회장 논란' 책임 묻기 나선 학생들 한계 봉착

-비학생회 단체, 징계 요청했지만 -총학회장, 재논의 거부 입장 고수 -단대 학생회도 별다른 논의 없어

2024-05-17     최윤희 기자

우리 대학 총학생회장의 ‘막말 정치인 응원’ 논란에 대한 솜방망이 징계를 비판하고 추가적인 책임을 요구하고자 했던 우리 대학 비학생회 단체의 시도가 사실상 무산됐다.

지난 4월 5일 우리 대학 예원정에서 진행된 총학생회장 규탄 '과잠 시위'. [최유민 기자]

17일 <채널PNU>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5월 3일 ‘총학생회장단 규탄 학생모임(비학생회 단체)’이 이 총학생회장에 대해 최소 4호 처분(자격 정치) 이상의 책임을 묻는 징계안을 상정했다. 하지만 지난 5월 9일 총학생회(총학)는 이에 대해 징계를 재논의하지 않겠단 입장을 다시 고수했다.

이에 비학생회 단체는 추가적인 대응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총학 측이 주장하는 일사부재리에 위배되지 않는 징계안을 상정하고 법적 검토까지 마쳤으나, 이마저 받아들여지지 않자 한계에 부딪혔다고 판단한 것으로 파악된다. 앞서 총학 측은 법률 자문을 구한 결과 ‘중앙운영위원회(중운위)에서 징계 받은 사안에 대해 또 다시 징계하기 위해 대의원총회를 개최하는 것은 일사부재리 원칙에 위배’된다고 주장했다.

비학생회 단체에 따르면 이들이 논하려는 징계 사안은 중운위의 징계가 결정된 이후 이 총학생회장의 △학생회에서 발의한 대총 개회 책무 거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법적 대응을 표방하며 겁박한 태도 등이다. 비학생회 단체의 이석재(정치외교학, 19) 씨는 “사안의 본질을 논하고자 했으나, 누가 이기고 지느냐에 초점이 맞춰지는 것 같아 활동을 마무리하려 한다”며 “저를 비롯한 많은 학우분들이 함께 보여준 소신과 참여가 각자 삶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기억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비학생회 단체의 활동 잠정 중단으로 사실상 이 총학생회장에 대해 추가적 책임을 묻는 학생사회의 움직임은 힘을 잃을 것으로 보인다. 사건 직후 학생회를 중심으로 추진됐던 대총 개회 요구가 흐지부지된 이후 비학생회 단체를 중심으로 동력이 옮겨가며 강경하게 이어져 왔다. 지난 4월에는 비학생회 단체 주도로 학내 곳곳에 이 총학생회장을 규탄하는 현수막을 내걸고 의견을 같이하는 학생 64명을 모집해 과잠 시위를 진행하기도 했다(<채널PNU> 2024년 4월 5일 보도). 당시 이들은 과잠 시위 이후 대면 시위를 진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으나, 학생회 구성원들이 적극적인 움직임에 나서지 않자 징계안 상정을 가장 확실한 수단으로 여기고 추진하게 됐다고 밝혔다.

비학생회 단체의 징계요청서에 대한 총학생회장의 답변. [비학생회 단체 제공]

실제로 지난 3월 이 총학생회장에 의해 두 차례의 대총 발의가 거부됐던 단과대학 학생회 사이에선 그 이후로 별다른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사회과학대학 이석영(사회복지학, 19) 학생회장은 “당초 단과대와 타 학생 단체의 노력으로 대응했으나 회칙의 부실과 학생 관심 부족으로 진전이 미비했던 것 같다”고 전했다. 논란 직후 강력한 비판 여론이 들끓었던 우리 대학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서도 관련 게시글은 더 이상 찾아보기 힘들다.

이번 비학생회 단체의 징계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에 대해 이 총학생회장은 “많은 학생분들의 감시와 질타를 받으면서 성숙한 학생회가 될 수 있게끔 이끌어가고, 남은 임기 동안 조금 더 열심히 하는 것이 진짜 진정한 책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학생회장은 지난 3월 31일 개인 SNS에 추가적으로 법적 책임이 아닌 ‘도의적 책임’을 지겠다며 △부산대학교 발전 기금 100만 원 출연 △총학생회장단 정기적 봉사활동 추진 △대동제 확대 추진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채널PNU> 2024년 4월 2일 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