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 맞댄 의대 총장들, 정부에 지원책 요구
-의대생 복귀 방안 등 의견 나눈 -우리 대학 포함한 33곳 총장들 -7일 교육부에 지원 방안 요구 -유급시 강의실 부족 등 불가피
우리 대학을 포함해 전국 33개 의과대학 총장들이 의대생 복귀 대책을 비롯해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지원 방안을 교육부에 요구했다.
오늘(7일) 우리 대학을 포함한 전국 33개 의대 총장이 모인 ‘의과대학 정상화를 위한 총장협의회(협의회)’는 교육부에 협의회 입장을 전달하고 의대생 복귀 방안을 논의했다. 지난 6월 4일 온라인으로 열린 협의회에 우리 대학은 이재우 교육부총장이 대리 참석했다. 이들은 △의대생 복귀 대책 △의대 교육 환경 개선 요구 △학생·학부모·의대 교수 민사 소송 추진 시 공동 대응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의과대학 총장들이 단체로 나선 건 의대 혼란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4월부터 학사 일정을 연기해 개강했지만 현재까지도 대다수 의대생들은 수업과 실습에 참여하지 않고 있어 출석 미달로 인한 유급 가능성이 커진다. 유급 시 등록금을 돌려받지 못하고 본과 4학년의 경우 국가고시 응시를 하지 못하는 등 학생 불이익이 크다.
연세대와 고려대 등 일부 대학에서는 휴학 승인 논의가 나오고 있지만 우리 대학은 현재 동맹 휴학을 승인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의과대학 행정실 관계자는 <채널PNU>와의 통화에서 “휴학계 (승인) 논의는 정해진 바가 없다”고 말했다. 충북대의 경우 복귀하지 않은 의대생을 향해 동맹 휴학 신청이 불가 및 2학기 미등록 시 제적 가능성 등 강경한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대학의 경우 의대생 유급이 발생할 시 수업 환경이 열악할 것으로 우려된다. 1학년 학생 125명이 유급하면 이들은 내년도 신입생과 함께 수업을 들어야 한다. 지난 5월 31일 확정된 대학입학전형 기본계획에 따르면 우리 대학 의대는 내년에 163명의 신입생을 모집해 총 288명의 1학년이 수업을 들어야 한다. 윤식(해부학) 교수는 “의과대학 강의실 규모와 실습을 위한 시신 수 모두 현 학생 인원에 맞춘 상태여서 최대 10% 가량의 인원만 추가 사용이 가능하다”며 “일방적인 의대 증원에 대부분의 교수님들이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지난 4일 정부는 의대 증원에 반대해 사직서를 낸 전공의들을 복귀시키기 위해 사직서 수리 금지 명령과 진료 유지 명령, 업무개시 명령을 철회했다. 하지만 전공의 복귀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지난 5일 기준으로 현재 우리 대학 양산부산대병원과 본원에 복귀한 전공의는 아직 없다. 우리 대학 양산부산대병원 관계자는 “어제(4일) 발표한 후 공문이 오늘(5일) 내려왔다”며 “공문을 토대로 계획을 세워야 해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