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복귀 잠잠한데 대책 없는 정부·대학
-학사 운영·기숙사 혼란 가중 전망 -의대 교원 확보 문제도 지적 받아 -우리 대학 “추후 대책 논의할 것”
의정 갈등으로 지난해 휴학한 우리 대학 의대생들이 이번 학기에 복귀하지 않으면서 의과대학(의대)의 운영이 미궁에 빠졌다. 휴학생 복귀 대비책이 소용없어진 데다 휴학생 복귀가 늦어질수록 여러 학번이 동시에 수업을 듣는 '더블링' 문제와 교원, 시설 부족 등 혼란이 매 학기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상황이 이렇지만 교육부도 대학본부도 의과대학도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3일 <채널PNU>의 취재를 종합하면, 우리 대학 의대는 재적생 746명 중 613명(82%)이 휴학을 이어간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학본부에 따르면 우리 대학은 휴학생의 대규모 복학을 고려한 대책만 준비한 것으로 파악됐다.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 가능성이 높았지만 그들이 복귀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 방안은 없는 상태다(지난 2월 25일 기준). 교육부도 지난 2월 27일 3월 중으로 의학 교육 전반에 대한 대책을 내놓고 의대생 복귀를 독려하겠다고 밝힌 것에 그쳤다.
의대생 미복귀로 양산캠퍼스 기숙사는 공실이 발생할 상황에 놓였으나, 정작 의대 신입생은 부산캠퍼스 기숙사에 배정됐다. 신입생이 추후 기숙사를 전환하려 해도 양산캠퍼스 기숙사 규정상 양산캠퍼스 수업 이수율이 60% 이상일 경우에만 신청할 수 있어 실질적인 이용이 어렵다. 자유관에 거주했던 우리 대학 재학생 A(경영학, 22) 씨는 "기숙사 수용 인원이 한정된 상황에서 다른 단과대학 학생이 새로 들어오면 기숙사 경쟁이 치열해질 수 있다"며 "(의대생 미복귀로) 양산캠퍼스 기숙사에 공실이 발생하면 신입생을 해당 기숙사로 이전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대생들의 복학이 불투명한 가운데, 우리 대학은 당장의 의대생 미복귀에 대한 교육 대책이 없는 상태다. 대학본부 관계자는 올해 1학기 의대생 미복귀에 대한 학사 운영 방침이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지난 2월 25일 기준). 본래 우리 대학은 예년의 2배가 넘는 학생을 수용해야 하는 ‘더블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분반 확대 △계절 학점 제한 완화를 제시했으나, 이는 학생들이 오는 3월 수업에 복귀해야 실행할 수 있다.
의대생들의 복귀가 미뤄질수록, 한 학기에 복학할 수 있는 인원이 많아지게 되는데 이에 대비한 △수업 운영 △시설 확충 △교원 확보 계획 등은 여전히 부재하다. 관계자는 "(앞선 대책은) 복학한다는 가정하에 의미가 있다"며 "의대생 복귀가 저조한 것에 따른 향후 대책은 복학 신청 기간이 지나고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제시된 더블링 대책 또한 실효성이 낮다는 지적이 내부에서 나온다. 우리 대학 오세옥(해부학) 교수는 "더블링은 단순히 1, 2년의 문제가 아닌 6년 동안 지속되는 문제다"며 "적정 인원수가 있는 실습실에서 수업을 진행할 경우 위험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편법적인 방안을 제시하더라도 학습의 질이 저하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의대 교원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았다는 비판도 나온다. 의대는 오는 3월 신규 교원 임용을 앞두고 있으나, 사직한 교수가 많아 신규 임용만으로는 충분한 교원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우리 대학 의대 행정실에 따르면 지난 2월 13일 기준 의대 교원 수는 324명(△전임교원 154명 △기금교수 170명)이다. 오 교수는 "향후 학생 증원 수를 고려하면 교원은 사실상 2배로 증원돼야 한다"며 "간접적으로 의대 교육에 기여하는 대학병원 진료·임상 교수분들의 사직이 많아 신규 임용만으로 교수를 확보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한편 의대생들이 수업 거부 기조를 이어가며 학과 내 의견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경계하는 분위기가 감지돼 대책 마련을 위한 소통에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2월 18일 우리 대학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는 의예과 오리엔테이션(OT)에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신입생을 대상으로 수업 거부 투쟁에 관해 설명했다는 게시물이 올라왔으나, 해당 내용과 관련된 대부분의 글이 이틀 안에 삭제됐다. 이후 의대 비대위에서 학생들에게 외부 언론과 접촉하거나 온라인 커뮤니티 내 게시글을 작성하는 행위를 자제해 달라는 공지를 전달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