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의대생 결국 대규모 유급
-등록금 미납부·미복귀한 -의대생에 대한 유급 확정 -'트리플링'에도 대책 없어 -의대생 특혜 논란도 일어
복학 신청이 승인됐던 우리 대학 의대생 600여 명 중 수백 명이 수업에 여전히 복귀하지 않거나 등록금을 납부하지 않아 결국 유급됐다. 집단 유급 사태로 인해 1학년 수업을 세 학번이 동시에 듣는 ‘트리플링 문제’가 가시화됐지만 대처 방안에 대한 논의는 아직이다.
2일 우리 대학은 지난 4월 30일 자정까지 복귀하지 않은 의대생들의 유급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4월 30일 교육부와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학사 처리 방침을 합의한 결과다. 대학본부 관계자는 “의대 학장과 교육부 회의에서 해당 사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고려대 △연세대 △한양대 등은 합의에 앞서 학칙에 따라 수업 일수를 채우지 않은 학생들의 유급을 결정했다.
우리 대학은 유급이 결정된 의대생 인원을 정확히 밝히지 않고 있다. 다만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우리 대학의 강경 조치에도 여전히 수업에 복귀하지 않는 의대생이 수백 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학본부 측은 △복학 신청 기한 연장 △출석 미달 기준 일자 연기 △등록금 납부 연기 등 유례없는 편의 조치를 했음에도 학생들이 돌아오지 않자 유급 절차를 밟게 됐다고 전했다.
앞서 우리 대학은 3월 31일, 집단 휴학 중인 의대생 600여 명 전원의 복학 신청을 마감한 뒤 지난 4월 7일 최재원 총장과 의대생으로 구성된 부산대 의과대학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의 면담에서 의대생들의 수업 복귀 노력을 약속 받은 후 지난 4월 8일 복학을 승인한 바 있다(<채널PNU> 4월 11일 등 보도).
집단 유급 사태가 가시화됐지만 의대생 미복귀에 따른 학사 운영 대책은 없다. 의대생들이 유급하면 24·25학번과 신입생인 26학번이 동시에 1학년 수업을 듣는 ‘트리플링 문제’가 발생하지만, 이후 대처 방안에 대한 논의조차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우리 대학은 의대생의 복귀 여부와 무관하게 난관에 봉착할 전망이다. 대학본부 관계자는 “트리플링에 대한 대책은 논의된 바 없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우리 대학 의대생들을 대상으로 한 특혜 논란이 조명됐다. 우리 대학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는 지난달 내내 ‘의대 말고 다른 대학이 그랬으면 한 달 만에 제적시켰을 거다’, ‘학생이 수업을 듣지 않는 것으로 정부를 굴복시킬 수 있는 집단은 (의대가) 유일한 것 같다’ 등 게시물이 게재됐다. 의대생 유급 처분이 확정된 4월 30일 자정 이후에도 '유급 통첩이 몇 번째냐'는 글이 올라왔다.
한편 정부의 의료 개혁 정책이 계속 바뀌면서 의대 정원 문제도 과제로 남았다. 교육부는 지난 4월 17일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 기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기로 했다. 2027학년도를 포함한 앞으로의 의대 정원은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에서 심의한 후 결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