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대 학생들 "'과방 개편' 절차상 문제 있다"
-3월 28일 임기 시작한 학생회 -한달 전 인문대학과 공식 면담 -TF 운영 및 여론 수렴 등 나서 -인문대 "논의 후 입장 밝힐 것"
우리 대학 인문대학에서 ‘깜깜이 과방 개편’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인문대 학생들이 절차상 문제를 제기했다. 인문대 학생회는 인문대생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에 나서 과방 개편에 난항이 예상된다.
2일 <채널PNU>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3월 29일 임기를 시작한 인문대 학생회는 지난 4월 1일 인문대 행정실과 과방 개편을 두고 공식적인 면담 자리를 가졌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인문대 김임숙(일어일문학) 학장과 이은령(불어불문학) 부학장을 비롯해 사업 추진에 반대하는 대자보를 내건 △인문대학 학생회실 축소·이전 계획 진상규명 위원회(위원회)와 △인문대 학생회장단 △단과대학운영위원회(단운위) 등에서 총 11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합의하에 회의록 전문 공유등을 위원회에 이관하고 위원회 공식 SNS(@save_pnuhum_scr)에 게시했다.
이날 참석자 다수의 증언과 회의록에 따르면 학생 측은 과방 개편이 포함된 ‘디지털 인문학 복합러닝커먼스 사업’의 예산이 ‘구성원 협의’를 조건으로 할당된 사실을 드러내며 인문대학이 이를 지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지난 2월 19일 제10대 대학평의원회(대평) 제23차 회의결과에 따르면, 대평은 해당 사업을 두고 “인문대가 고유한 학생회실 등 일부 공간을 개선·구축하는 데에 있어 학생 등 구성원과 충분히 협의한 후에,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내용으로 교무회의에 상정할 것을 조건”으로 의결했다.
이에 대해 인문대학은 학내 구성원과의 협의 과정에 문제가 없었다고 항변했다. 지난해 △5월 29일 △10월 29일 △12월 29일에 2024학년도 인문대학 학생회장단을 통해 다수의 학생회 임원과 해당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는 것이다. 이어 인문대학 측은 2025학년도 학생회 선거를 통해 학생회 구성이 변경되면서 학생회 측의 입장이 지속해 변경된다는 아쉬움을 피력했다. 당시 인문대학 학생회는 선거가 무산돼 비상대책위원회가 두 차례나 꾸려지기도 했다. 이날 김 학장은 “학생들이 반대한다면 (사업 진행을) 하지 않을 것”이라며 “하지만 노력해서 얻은 10억 원(사업비)이고 학생들을 위한 사업이라는 것을 이해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인문대학은 앞으로도 학생 대표들과 지속적인 만남을 주선해 의견을 수렴할 방침이다. 인문대학 행정실 관계자는 최근 <채널PNU>와의 통화에서 “학생들과 논의할 자리가 많이 예정돼 있다”며 “인문대학의 입장이나 자세한 내용은 학생들과의 의견 수렴이 끝난 이후에 밝힐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인문대 학생회는 과방 개편 사업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4월 5일부터 7일까지 ‘소통 TF’를 구성하고 인문대생을 대상으로 의견 수렴을 하고 있다. 인문대학 김예빈(불어불문, 23) 회장은 “이번 (깜깜이 과방 개편) 논란과 관련한 일련의 과정에서 발생한 의문점 해소 및 경위 파악을 위해 TF를 구성했다”며 “인문대학 재학생과 휴학생을 대상으로 인문대학의 12개의 학과에서 각각 2명 이상을 모집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3월 28일 인문대학은 학생 자치 기구의 핵심 공간인 '과방'을 개편하는 과정에서 학생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제기됐다(<채널PNU> 2025년 3월 28일 보도).
알려드립니다. (05.02 16:40 수정)
인문대학에 문제를 제기한 주체를 '인문대학 학생회'에서 인문대학 학생회와 위원회 등을 비롯한 '인문대학 학생들'로 수정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