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풀 꺾인 ‘명비 논쟁’··· 이념 논쟁 우려는 여전
-6~7월 캠퍼스기획위 열고 -디자인·장소 등 논의 예정 -여론 수렴 부족 지적 있어 -학내외 이념 논쟁 불씨 여전
우리 대학이 추진 중인 명비 건립을 두고 교수와 학생들 간에 찬반이 엇갈리며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우리 대학이 뒤늦게나마 구성원 의견 수렴에 나섰다. 이에 따라 그간 “졸속 추진”이라며 명비 건립에 대해 강하게 반발해 온 여론이 다소 누그러진 것으로 보인다.
2일 우리 대학은 ‘6.25 참전 호국영웅 명비(명비)’ 건립 논란에 대해 “명비 건립의 세부 사항에 대해 구성원의 의견을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4월 29일 <채널PNU>와의 통화에서 대학본부 측은 “오는 6~7월 중 캠퍼스기획위원회를 다시 열고 명비의 △건립 위치 △디자인 △규모 △제막 시기 등 전반적인 사안에 대한 논의를 거친 후 추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명비의 해당 위원회에는 교수회가 추천한 교수 2인도 포함돼 총 15명으로 구성될 예정이다.
앞서 우리 대학은 지난해 9월 국가보훈부와 ‘6.25 참전 호국영웅 명비(명비)’ 건립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이 사실을 뒤늦게 파악한 우리 대학 교수회는 지난 4월 14일 대학본부에 명비 건립 전반에 대한 재검토를 공식 요청했다(<채널PNU> 2025년 4월 17일 보도). 대학본부는 지난 4월 16일 내달 2일로 예정된 제막식 일정을 연기하고 건립 위치를 재검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난 4월 17일 대학평의원회(대평)에서 △절차적 정당성 부족 △캠퍼스 상징성 훼손 △공적 검토 부족 △공간적 부적절성 등을 이유로 명비 건립에 대한 우려를 공식화하고, 학내 캠퍼스 곳곳에는 △교수회와 △물리학과·물리교육과 △민주동문회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부산대분회 등이 부족한 의견 수렴을 규탄하는 현수막을 학내에 내걸리자 대학본부가 한발 더 물러섰다.
다만 대학본부는 명비 건립 여부에 대해서는 이변이 없다는 입장이다. 명비 건립을 둘러싼 쟁점 중 하나인 ‘건립 자체를 재논의할 여지’는 없다는 것이다. 대학본부 측은 “(이미) 국가보훈처와의 협약에 따라 사업을 추진 중이므로 전면적 취소는 계획에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교수회는 대학본부의 결정에 수긍했다. 이용재(문헌정보학) 교수회장은 “대학본부에서 논의 의사를 내비친 점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여전히 공론화 절차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한국비정규교수노동조합 부산대분회 관계자는 “(명비 건립에 대한) 세부 사안 논의에 착수한다지만, 여전히 학생 여론은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학생 의견은 여전히 배제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우리 대학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서도 “(명비 건립에 대해) 학생 여론 수렴 절차는 없지 않냐”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다.
한편 우리 대학의 명비 건립이 학내외 이념 논쟁으로 격화될 가능성이 일고 있다. 앞서 지난 4월 17일 열린 대평에서는 이미 “명비가 외부 정치 세력에 의해 이념 갈등의 소재로 이용될 우려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된 바 있다. 실제로 최근 부울경자유민주대학생연합 등 일부 외부 보수단체가 학내에 명비 건립을 지지한다는 대자보와 현수막을 학내에 게재했다. 이들은 오는 5월 9일 오전 11시 우리 대학 정문에서 명비 건립 지지 집회를 열겠다고 예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