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대 증원 희망 조사 실시
-우리 대학, 125→200명 가능해
-"인프라 추가 및 정책 변화 필요"
우리 대학이 의과대학 정원을 200명까지 증원할 의사를 밝혔다. 증원 여부는 현장 실사와 점검을 거쳐 확정될 예정이다.
23일 <채널PNU> 취재를 종합하면 정부는 지역 완결적 필수 의료 혁신전략으로 의대 정원의 증원을 내세웠다. 필수 의료 인력 부족 및 지역 의료 공백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침이다. 이를 위해 교육부는 지난달 우리 대학을 포함한 각 지역 40개 의과대학을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실시했다.
우리 대학은 해당 조사에서 기존 125명의 정원을 최대 200명까지 증원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의과대학 인프라의 추가적인 구축을 전제로 한 계획이다. 우리 대학 의과대학 장철훈 학장은 지난 15일 <채널PNU>와의 전화 인터뷰를 통해 “현재 강의실 등은 많아도 150명 정도 수용할 수 있게 설계됐다”며 “건물·강의실·실험실·병원 실습 등 여러 상황을 고려해 준비한다면 인프라 구축 시 200명까지 수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의과대학 측은 증원과 더불어 정책적 변화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현재는 의료 문제의 보완을 기대하고 의대 정원을 확대하지만, 정원 부족만이 원인은 아니기에 이번 변화를 계기로 근본적인 정책적 변화도 등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 학장은 “국가에서 증원한 의대 정원 중 일부가 우리 대학에 맡겨질 것”이라며 “교육의 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는 교육을 통해 지역에 훌륭한 의사를 양성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향후 △현장 실사 △의학교육점검반을 토한 교육 역량 점검 등을 진행하여 증원 여부를 결정한다. 의대 정원을 늘리면 △필수 의료 인력 △지역 의료 공백 문제 등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여전하다. 정원 확대 시 의학 교육의 질 저하 문제, 필수 의료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이 어렵다는 주장이다. 이에 대해 장 학장은 “학생당 교수 숫자를 따졌을 때 교수를 더 보충하는 등의 보완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