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납부 과정 오류 줄이기 위해
-14년 만에 등록금 카드 납부제 폐지
-신입생, 현금 납부로 인한 부담 호소
-“줄어들 카드 수수료는 인프라 투자”

우리 대학이 14년간 운영해 오던 신입생 등록금 카드 납부제를 폐지했다. 올해 신입생 등록금은 오직 일시불 현금 납부만 허용된 가운데 이 같은 지침이 신입생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12월 16일 부산대학교 홈페이지에 올라온 2025학년도 신입생 등록금 수납 방법 변경 안내문. 2025학년도 1학기 신입생 등록금 수납부터는 신용카드 납부가 불가함을 명시하고 있다. [출처: 부산대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 갈무리]
지난해 12월 16일 부산대학교 홈페이지에 올라온 2025학년도 신입생 등록금 수납 방법 변경 안내문. 2025학년도 1학기 신입생 등록금 수납부터는 신용카드 납부가 불가함을 명시하고 있다. [출처: 부산대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 갈무리]

3일 <채널PNU> 취재를 종합하면 우리 대학은 지난달 3일 2025학년도 우리 대학 신입생 등록금 수납 방법에서 신용카드 납부를 제외하고 현금 납부만을 운영했다. 이 같은 조치는 2010년 2학기 등록금 납부 기간부터 신용카드 납부제를 도입한 이후 14년 만이다. 지난해까지 신입생들은 △농협은행(BC카드·NH카드) △부산은행(BC카드) △하나은행(BC카드·하나카드)을 통해 등록금 납부가 가능했다.

우리 대학은 카드 납부제를 폐지한 건 신입생 충원 과정에서 발생하는 등록 오류를 줄이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대학본부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해 1학기에 은행 시스템과 우리 대학 중계 서버 간의 연계 문제로 신입생 등록이 반영되지 않는 오류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 관계자는 "신입생 충원이라는 촉박한 일정 속에서 최대한 오류를 없애는 게 학교 입장에선 중요한 일이라 카드 납부를 폐지하는 걸로 결론지었다"고 말했다.

막대한 카드 수수료도 이 같은 결정에 배경이 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 대학은 현재 등록금 납부 과정에서 카드사에 1.5%의 수수료를 지급하고 있다. 카드 납부제가 폐지되면서 해당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카드 수수료만큼 확보된 재원은 학내 시설 개선에 활용될 예정이다. 대학본부 관계자는 "1.5%의 카드 수수료를 대학이 전부 부담하는 상황에서 해당 부분을 절감하면 다른 학내 인프라에 투자할 수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카드 납부가 폐지되자 우리 대학 신입생은 목돈 마련의 어려움을 표했다. 등록금 납부 방법 중 카드 납부만이 할부(△무이자 3개월 △최대 15개월)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카드 납부가 폐지되면서 신입생들은 한 번에 거액의 현금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우리 대학의 등록금은 학과별 상이하며 최저 168만 원에서 최대 341만 1,000원에 달한다. 신입생 A(컴퓨터공학, 25) 씨는 "학교 입장에서는 (현금 납부로) 행정 처리가 빨라지겠지만 학생이나 학부모 입장에서는 재정적인 부담이 크다"고 말했다. 신입생 B(경영학, 25) 씨도 "등록금을 현금으로 납부하는 것보다 신용카드로 납부하는 것이 부담이 훨씬 적은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보통 카드 납부가 폐지되면 현금 분할 납부제가 있기 마련이지만 우리 대학은 신입생에게 분할 납부를 허용하지 않고 있다. 교육부 민원상담센터 담당자는 "교육부는 분할 납부제를 강조해 권고하고 있다"며 "하지만 이는 자율이라 법적 제약은 없다"고 말했다. 또한 한국장학재단이나 교내외에서 운영되는 장학금 역시 재학생은 등록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신입생은 우선 등록금을 납부한 후 환급을 받아야만 한다. 이에 대해 A 씨는 "신용카드 납부가 불가해졌으니, 신입생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한 학교 측의 추가적인 지원이나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변경된 제도에 대한 사전 고지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등록금 수납 방식이 바뀐 사실 자체를 모르는 신입생도 있다는 것이다. 신입생 C(무역학, 25) 씨는 "신입생 등록금 수납 방식이 변경됐다는 내용을 홈페이지 내 아주 간략한 설명으로만 확인할 수 있었고 별도 문자가 없어 충분히 안내되지 않았다고 느꼈다"며 "등록금 납부와 같은 중요한 일에 관해서는 더 적극적으로 안내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기존 제도를 오류를 이유로 갑작스레 폐지하는 것에 대한 비판도 여전하다. 재학생 D(22, 정치외교학) 씨는 "오류를 해결해서 조금씩 보완하는 것이 아니라 삭제해 버리는 방법은 행정 편의주의적"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