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전과 시행계획 변경 발표
-전국적 추세 따라 규모·자격 확대
-생자·인문대 제외돼 학생들 불만
우리 대학 16개 단과대학 중 14곳이 오는 학기부터 전과 전출 허용 인원을 확대한다. 전출 인원 제한이 기존대로 유지된 생명자원과학대학(생자대)과 인문대학(인문대) 학생들은 불만을 표한다.
8월 29일 <채널PNU> 취재를 종합하면 우리 대학은 전출 허용 인원과 횟수, 지원 자격을 확대하는 내용의 ‘학칙 및 학사운영규칙 개정안’을 지난 8월 1일 공포했다. 교무과에 따르면 우리대학은 지난 6월 학칙 개정을 위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후 관련 절차를 거쳐 지난 7월 29일 교무회의에서 최종 개정을 결정했다. 개정 공포에 앞서 해당 내용은 지난 7월 15일 공식 홈페이지에 ‘2025학년도 2학기 학부 전과 시행 공고’를 통해 알려졌다.
개정안에 따르면 전출 허용인원이 입학정원의 10% 이내에서 20% 이내로 확대됐다. 전과 가능 횟수도 재학 중 1회에서 2회로 늘었다. 지원 자격 또한 2학년 2학기 개시 전부터 4학년 1학기 개시 전까지 지원 가능했으나 1학년 수료 학점만 이수하면 가능한 것으로 확대됐다. 이는 우리 대학 학칙 제63조와 학사운영규정 제12조·제13조를 근거로 하며 2025학년도 2학기부터 시행된다.
전과 제도 개편 논의는 개정된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따라 학생들의 전공 선택 기회를 보장하고 중도 탈락을 줄이기 위해 지난 5월부터 진행됐다. 지난해 2월 개정된 고등교육법 시행령 제29조 제3항에서는 기존 2학년 이상만 가능했던 전과에 대한 학년 제한을 폐지한 바 있다. 우리 대학 임선주 학사부처장은 “학사 경고를 받은 학생들과 면담하면 적성이나 학과에 불만이 있는 경우가 많아 이를 해결하고자 전과 기회를 넓혔다”고 말했다.
전과 전출 기준 완화는 전국적인 추세이기도 하다. △강원대 △경희대 △서울대 △서울시립대 △이화여대 △전남대 △충남대 △충북대 등은 전과 인원을 모집 단위별 입학정원의 20%로 두고 있다. 교육부도 대학별·지역별 여건에 맞게 인재양성체계를 혁신하기 위해 전과 활성화 여부를 국립대학육성사업 평가 요소에 포함한 바 있다. ‘2025년 국립대학육성사업 기본계획’을 보면 전공 선택권 확대와 이를 지원하는 교육과정·체계의 혁신 정도가 성과 평가지표 중 하나다.
이런 가운데 전출 인원 제한이 기존대로 유지된 생명자원과학대학(생자대)과 인문대학(인문대) 학생들은 불만을 표한다. 인문대의 경우 수시 모집 입학생은 전과 자체가 불가하다(<채널PNU> 2023년 8월 31일 보도). 인문대학 24학번 A 씨는 “학생 수를 보존하기 위한 조치임은 알지만, 인문대 학생으로서 차별로 느껴진다”고 말했다. 생자대 B 씨(생명환경화학, 22) 또한 “제외된 이유와 근거에 대한 학교 측의 설명이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우리 대학 홈페이지 ‘PNU 건의함’에는 “생자대도 전출 20% 확대를 적용해 달라”는 한 학생의 요청문이 지난 7월 17일 오르기도 했다.
이에 대해 우리 대학 학사과 측은 “단과대별로 의견 수렴을 거쳐 학과별 구조적 특성을 반영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생자대는 예년 전입이 적은 상황에서 전출만 늘어났을 때 발생할 문제를 우려해 기존 전과 제한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실제로 생자대에 따르면 2021학년도부터 2025학년도까지 전입자는 총 3명이었으나, 전출자는 총 113명이었다. 생자대 행정실 측은 “밀양캠 생자대의 전출 인원이 많아질 경우 남은 학생들에 대한 학습권이 침해될 수 있는 점을 고려했다”고 말했다. 인문대 행정실은 이와 관련한 취재에 밝힐 입장이 없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