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학생회단체, 5일 과잠 시위 전개
-막말 정치인 응원에 대총 거부한
-총학회장에 책임 있는 결단 촉구

‘총학생회장단 규탄 학생 모임(비학생회 단체)’이 대자보와 현수막 게재에 이어 오늘(5일) 우리 대학 사회관 앞 예원정에서 ‘학과점퍼 시위(과잠 시위)’를 시작했다. 우리 대학 이창준(지질환경과학, 22) 총학생회장의 ‘법적 대응’ 언급에도 총학생회장의 적극적인 책임을 요구하는 학내 움직임은 사그라지지 않는 모양새다.

5일(오늘) 우리 대학 이창준 총학생회장을 규탄하는 내용의 피켓 뒤로 과잠이 놓여있다. [유승현 기자]
5일(오늘) 우리 대학 이창준 총학생회장을 규탄하는 내용의 피켓 뒤로 과잠이 놓여있다. [유승현 기자]

5일 비학생회 단체에 따르면 지난 4월 3일부터 이틀간 우리 대학 사회관 1층 계단 옆에 상자를 두고 총학생회장의 책임 촉구에 동참하는 학생들의 과잠을 모집했다. ‘막말 정치인 응원’ 논란과 관련해 이 총학생회장의 두 차례 대총 거부(<채널PNU> 2024년 3월 27일 보도)에 대한 규탄과 함께 개회 의무를 촉구하고, 사퇴를 포함한 총학생회장의 ‘책임 있는 결단’을 촉구한다는 취지에서다. 최종 10개의 단과대학, 21개의 학과에서 모인 64개의 과잠은 오늘(5일)부터 예원정에 놓여 ‘과잠 시위’에 쓰이게 된다. 비학생회 단체는 종료 일시를 정해두지 않고 여건이 되는대로 시위를 지속하겠단 계획이다.

비학생회 단체를 비롯해 이번 과잠 시위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 총학생회장의 ‘법적 대응’ 표방에도 오히려 시위를 확대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 31일 이 총학생회장은 개인 SNS를 통해 “이미 징계가 이뤄진 사안에 대해 다른 처벌을 요구하는 세력에 대해 법적으로 강경히 대응할 것”이라고 입장 낸 바 있다(<채널PNU> 2024년 4월 2일 보도). 비학생회 단체에 속한 송도형(정치외교학, 23) 씨는 “(이 총학생회장의) 법적 대응 예고가 전혀 두렵지 않다”며 앞으로 시위에 계속 참여하겠단 의지를 드러냈다.

시위에 참여한 학생들은 앞서 책임 촉구를 주도한 학생들이 옳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었다고 전하며 ‘연대의 힘’을 강조했다. 과잠을 모으기 시작한 첫날 참여한 김진혁(사회학, 21) 씨는 “총학생회장단의 행동도 규탄받아 마땅하지만, 그에 대해 학우들이 무관심하거나 가십거리고 생각하는 게 더 우려된다”며 “먼저 목소리를 내준 비학생회 단체에 힘을 싣고자 시위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시위에 참여한 B 씨 또한 “1인 시위를 해야한다면 두려웠겠지만 다 함께 같은 생각을 갖고 시위한다는 생각에 참여했다”며 “이번 시위 이후로도 단체 행동이 있다면 더 많은 학우가 함께 해줬으면 좋겠다”고 참여를 독려했다.

시위는 사회관 앞 예원정 잔디에 과잠을 나열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일각에선 과잠 취합과 시위 공간 모두 사회관을 중심으로 진행돼 사회과학대학 학생이 아니라면 접근이 힘들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에 대해 시위를 기획한 C(정치외교학, 19) 씨는 “넉넉한 터나 새벽벌도서관 계단 등 다양한 공간을 염두에 두고 살폈지만, 학우들의 통행로를 막거나 미관을 해치는 공간을 지양했다”며 “시위를 확대한다면 당연히 다른 곳에서도 진행할 계획이 있다”고 말했다.

비학생회 단체는 ‘과잠 시위’를 시작으로 ‘대면 시위’ 등 보다 강경한 활동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전했다. 시위 기획에 적극 참여한 D 씨에 따르면 곧바로 대면 시위를 진행하려 했으나, 허가 절차나 참여 학생들을 모으는 등의 준비 과정이 길어 비교적 절차가 간단한 ‘과잠 시위’를 우선 진행했다. 대면 시위를 준비하는 기간 동안 학내 여론이 잠잠해질 것을 우려해 내린 결정이란 것이다.

한편, 학내 비학생회 단체의 활동에 불만을 제기하는 세력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 4월 2일 새벽벌도서관 정문 인근에 게시해 둔 현수막이 철거되는 일이 발생했다. 경찰 조사에 따르면, 한 학생이 새벽벌도서관 내 카페 측에 “현수막이 보기에 좋지 않으니 철거해달라”고 요청했고, 카페 측은 불법 현수막으로 착각해 밧줄을 끊었다고 밝혔다. 현수막에 대한 익명 민원이 학생과에 접수되기도 했다. 그 외 우리 대학 내 4곳에 부착된 현수막은 모두 사전에 허가받았기에 별다른 조처가 이뤄지진 않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