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 채용·수강신청 시기 겹쳐
-신청 직전까지 교원 미지정에
-4개 교양 강좌 폐강되기도
-학교 “재발 방지 논의하겠다”
방중에 진행된 2025학년도 2학기 수강신청 과정에서 대규모 혼선이 일었다. 교수계획표가 대거 공개되지 않거나, 일부 강좌가 임시 수강신청(희망과목담기) 이후에 시간과 강사가 변경되거나, 수강신청 중에 폐강되는 등 잇따른 행정 혼란으로 학습권이 침해됐단 불만이 솟구쳤다. <채널PNU> 취재 결과 이는 3년마다 반복되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로 파악됐다.
8월 29일 <채널PNU>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8월 11일부터 13일까지 진행된 수강신청 기간에 크게 세가지 불편사항이 발생했다. 우리 대학 학생지원시스템에 공개된 '2025학년도 2학기 학부 개설강좌 알림표'에 따르면, 지난 7월 25일 기준 이번 학기 전체 개설 강좌 4,333개 중 1,349개(31%) 과목의 교수계획표가 미공개된 채 임시 수강신청(희망과목담기, 희과담)이 진행됐다. 희과담 이후에 경영학과 등 일부 학과에서 강의 시간과 담당 교원이 예고없이 교체됐다. 급기야 수강신청 마지막날인 지난 8월 13일에는 교양 과목 4건이 폐강되며 학생들의 혼란이 가중됐다.
연달아 터진 수강신청 혼란에 우리 대학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 에브리타임(에타)은 발칵 뒤집혔다. 에타에서 학생들은 “시간만 보고 랜덤으로 신청해야 하는 거냐”, “공개채용 합격 여부는 수강신청 전에 공지했어야 하지 않냐” 등 여러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같은 반응이 화제가 돼 지난 8월 13일 '"강사가 채용 불합격해 강의 개설 취소"…부산대 학생들 '황당''이라는 제목으로 기성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실제 취재진이 만난 학생들도 학습권이 침해됐다며 불만을 쏟아냈다. 박채원(교육학, 23) 씨는 “교수계획표나 담당 교원이 지정되지 않으니 듣고 싶은 과목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 수 없었다”며 “교수계획표가 공개된 일부 과목에 한해 수강신청을 할 수 밖에 없어 선택권이 좁았다”고 말했다. 21학번 A 씨도 “교수님이 누군지 알아야 미리 정보를 얻고 강의 계획에 맞춰 시험과 과제 준비를 할 텐데 개강 직전임에도 (교수자가) 지정되지 않아 답답하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학사 시간표는 물론 교외활동을 다시 설계해야하는 불편함을 겪었다. 손희경(불어불문학, 22) 씨는 “대학 수업은 등록금과 직결된 문제”라며 “학교 측 실수로 학생들이 피해를 본다면 어떻게 보상할 건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B(고고학, 23) 씨는 “수강신청은 학습권의 시작”이라며 “학생들이 듣고 싶은 강의를 못 듣게 됐기 때문에 학생으로서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가 침해당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수강 신청 중 폐강으로 인한 혼란도 컸다. △생성형AI와 예술의종말과 진화 △유럽의 국가이념과 현실 △우리사회의 현실과 한국소설의 상상력 △몽골어 등 4과목이 수강신청 기간 중에 폐강되기도 했다. 뒤늦게 폐강 알림 문자를 받은 조우림(음악학, 20) 씨는 “3년간 학교를 다니며 폐강 공지를 처음 받아봤다”며 “수강신청 마지막 날 소식을 전달받아 시간표 구성에 큰 차질을 겪었다”고 말했다.
이같은 문제는 우리 대학이 3년 마다 실시하는 대규모 강사 채용 시즌과 수강신청 기간이 겹쳐 벌어진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학사과와 교양교육원에 따르면 수강신청 중 강사 채용으로 인해 교과목이 폐강된 경우는 이번이 최초다. 우리 대학은 강사법에 따라 500~600여 명의 강사를 채용한다. 2019년 8월부터 시행된 고등교육법(일명 강사법)은 열악한 시간강사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해 비정규직 교수의 임용 기간을 1년 이상으로 하고, 3년간 재임용 절차를 보장하도록 개정됐다. 이에 따라 우리 대학은 평년에는 매 학기마다 100여 명의 강사를 채용하지만 3년 마다 대규모 채용 절차를 거칠 수 밖에 없다.
우리 대학은 교과목 폐강에 대해 사과문을 발표해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지난 8월 18일 교무처와 교양교육원은 사과문에서 “교과목 폐강은 강사 채용 합격자 발표 시기가 희망과목 담기 및 수강 신청 기간과 연계되지 않아 발생했다”며 “이러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모든 행정 절차와 제도를 전면적으로 재점검하고 개선할 것을 약속드린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만 우리 대학은 대규모 강사채용으로 인한 교수계획표 대거 미공개는 3년마다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에 대해서는 학교가 대처하기엔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우리 대학 교무과 교무팀은 “비정규교수노동조합의 요청에 따라 한 학기 끝나고 채용을 해야해 방학 중 시행하는 수강신청과 겹칠 수밖에 없었다”며 “이번 일로 인해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지 논의를 해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