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의대 증원 추진 3개월째
-의료계와 교육계는 혼란 지속
-집단유급 막기 위해 개강 강행
-실습 외엔 모두 비대면 진행

의대 정원 증원을 두고 우리 대학에서도 의과대학과 병원 안팎으로 3개월째 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학생들로 가득해야 할 강의실은 텅 비었고, 운영 축소된 병원에선 의료 공백과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지난 1일 <채널PNU>가 찾은 우리 대학 의대 강의실은 텅 비어 있었다. 의대 건물을 지나다니는 학생도 찾아보기 힘들었다. 지난 2월부터 시작된 전국 의대생들의 동맹 휴학이 장기화하자, 우리 대학 의과대학에서는 지난 4월 15일을 학생들의 집단 유급을 막을 수 있는 마지노선으로 보고 개강을 알렸다(<채널PNU> 2024년 4월 11일 보도). 하지만 실습을 제외한 강의를 모두 비대면으로 진행하고 있었다. 우리 대학 의과대학 관계자는  “임상 실습이 있는 3, 4학년만 대면으로 수업하고 있다”며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참여율은 공개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 1일, 의대 강의실에는 학생 대신 흰 가운과 과잠만이 구석에 놓여져 있다. [윤지원 기자]
지난 1일, 의대 강의실에는 학생 대신 흰 가운과 과잠만이 구석에 놓여져 있다. [윤지원 기자]
지난 1일, 수업이 진행되고 있어야 할 의대 강의실이 텅 비어있다. [윤지원 기자]
지난 1일, 수업이 진행되고 있어야 할 의대 강의실이 텅 비어있다. [윤지원 기자]

지난 2월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발표 이후 의료계와 교육계 혼란은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우리 대학 의대 강의는 여전히 본격 재개되지 않았고, 우리 대학 병원들은 현재 비상 경영 3단계에 돌입했다. 이러한 가운데 지난 4월 30일 우리 대학은 기존 125명이던 의대 모집 정원을 2025학년에 163명으로, 2026학년도부터 200명으로 증원하기로 결정했다. 우리 대학은 증원 결정안을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에 제출했고, 오는 5월 7일 교무회의 심의 절차를 거쳐 학칙을 개정할 방침이다.

우리 대학 병원 역시 상황은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다. 전공의 이탈과 수술 축소로 인해 병원 운영이 이전만큼 원활하지 않은 실정이다. 양산부산대병원 관계자는 “수술을 미룰 수 있는 경우, 환자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일부 수술을 미루고 있다”고 전했다. 병동 역시 3개 병동을 통합해 운영하고 있으며, 매일 5~6억 원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지난 4월 19일 양산부산대병원은 비상 경영 최고 수준인 3단계를 발표했다. 병원 관계자는 “이 상황이 끝나기 전까지는 (손해) 금액이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의대 교수들은 집단 사직서 제출을 여전히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밝혔다. 우리 대학 의대 교수들은 지난 3월 25일부터 사직서를 제출하겠단 의사(<채널PNU> 2024년 3월 29일 보도)를 밝혔지만 아직 제출하지 않은 상태다. 우리 대학 교수협의회장 오세옥(해부학) 교수에 따르면 현재 의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로 교수 200여 명의 사직서가 모여 있다. 오 교수는 “(의대생 대량 휴학, 유급, 전공의 사법 절차 시) 교수님들의 자발적 의사에 기반해 사직서 제출을 시작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의대 증원에 대한 의료계 반발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의대 증원에 대한 정부의 명확한 근거가 없다는 것이 주된 이유다. 오 교수는 “50~100% 범위 내 조정은 과학적 추계에 기반한 것도 아니고, 의정 합의에 기반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공교롭게도 지난 4월 30일 법원이 정부의 의대 증원 추진에 제동을 걸었다. 서울고등법원은 의대 교수·전공의·의대생 등 18명이 보건복지부와 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낸 정부의 의대 증원 집행정지 신청 항고심 심리에서 정부에 증원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 자료를 5월 10일까지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이 같은 법원의 요청으로 의대 증원 절차 승인이 늦어질 변수가 생겼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