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학 회의록 공개 지연으로
-학생 자치 운영의 알권리 막혀
-총학 "축제 등으로 바빠" 사과
-회의록 공개 기한 규정은 없어
우리 대학 총학생회(총학)의 회의록이 202일 만에 공개됐다. 학생 자치 운영에 관한 논의 사항이 반년이 넘어서야 공개되자 그간 확대중앙운영위원회(확운위) 등이 밀실 운영을 해왔다는 오명을 안게 됐다.
8월 30일 <채널PNU>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 8월 19일 우리 대학 총학은 올해 1월 30일에 열린 제6차 확운위 회의록을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회의 개최 202일 만이다. 확운위는 △총학생회장단 △단과대학 △동아리연합회 회장단이 학생회 운영 전반의 주요 사안들에 대해 논의하고 결정하는 상시의결기구다. 그러나 확운위 외에 총학생회가 회의록을 공개해 왔던 △민족 효원 대의원총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의 회의록은 현재(8월 30일)까지 게시되지 않았다.
회의록 공개는 학생 자치 운영에서 필수 요건으로 여겨져 왔다. 회의록은 총학이 달리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을 때 학생회 임원이 아닌 학생들이 학생회 운영에 관해 논의되는 안건을 파악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회의록이 없다면 학생 개인이 직접 정보공개청구를 하지 않는 이상 총학의 업무 진행 상황을 비롯해 △학생회 내 논의 안건 △안건 결정의 경위와 절차 △새롭게 건의된 안건 등을 확인할 수 없다. 전 확운위 위원이었던 우리 대학 재학생 A 씨는 “지금까지 학생들이 회의록을 공개해 왔던 것은 학우들에게 사업의 진행 상황을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이 학우들을 대표하는 집단으로서 마땅한 일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소식을 접한 일부 학생들은 총학이 회의록 공개라는 기본 소통 업무를 이행하지 않는 건 직무 유기와 같다고 지적했다. 우리 대학 재학생 B(21) 씨는 “나를 대표하고 있는 학생회가 어떤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는지를 알 필요가 있지 않겠냐”며 “중요한 결정이나 논의를 담은 회의록조차 공유하지 않으면서 학생들의 의견을 듣고 ‘학생이 주인인 학교’를 만들겠다던 포부를 어떻게 지키겠다는 것인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총학은 이 같은 회의록 게시 지연이 지난 학기 중 발생한 다양한 문제 탓이라고 밝혔다. 지난 3월부터 이어진 총학생회장의 막말 정치인 응원 논란(<채널PNU> 2024년 3월 19일 보도)과 5월까지 이어진 대동제 준비로 부서 업무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고 해명한 것이다. 이창준(지질환경과학, 22) 총학생회장은 “(회의록이) 늦어진 점에 대해서 사과 드린다”며 “방학 후 그간 밀린 작업을 하고 있고 모든 회의록 작성을 완료해 마무리 검토 작업 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일을 안 한 게 아니라 못했던 상황도 많아 총학생회 입장도 학우 분들이 양해해 주신다면 감사하겠다”고 입장을 전했다.
현재로선 총학이 회의록을 늦게 게시하거나, 회의록 게시 요구에 바로 응답하지 않을 경우에도 이를 강제할 수단이 없는 상태다. 회의록에 대한 내용을 명시한 ‘부산대학교 총학생회 기록물 관리 규칙’에는 회의록을 작성해야 한다는 조항(제14조)과 기록물을 공개해야 한다는 조항(제32조)이 있지만 회의록의 공개 기한을 설정한 조항은 존재하지 않는다. 서강대나 한국외대 등 타 대학의 경우 총학생회칙에 회의록의 기록 의무와 함께 공개 기한을 설정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