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3일 운죽정서 통합 최종 합의
-합의 이틀뒤 교육부에 신청서 제출
-2027년 3월 1일 '통합 부산대' 출범
-통합 승인까지 6개월 이상 소요 전망

우리 대학이 부산교대(교대)와의 대학 통합에 최종 합의하고 교육부에 통합 신청서를 제출했다. 통합추진위원회(통추위) 출범 이후 약 5개월만으로 현재 ‘글로컬대학30’ 사업에 지정된 통합 모델 대학 중 가장 빠른 움직임이다.

지난 4월 23일 우리 대학 운죽정 2층에서 우리 대학 차정인 총장(왼쪽)과 부산교대 박수자 총장(오른쪽)이 통합을 최종 합의했다.
지난 4월 23일 우리 대학 운죽정 2층에서 우리 대학 차정인 총장(왼쪽)과 부산교대 박수자 총장(오른쪽)이 통합을 최종 합의했다. [임현규 부대방송국 국장]
지난 4월 23일 우리 대학 운죽정에서 열린 부산대-부산교대 통합합의서 서명식에서 우리 대학 차정인 총장(왼쪽)과 부산교대 박수자 총장(오른쪽)이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임현규 부대방송국장]
지난 4월 23일 우리 대학 운죽정에서 열린 부산대-부산교대 통합합의서 서명식에서 우리 대학 차정인 총장(왼쪽)과 부산교대 박수자 총장(오른쪽)이 서명한 뒤 악수하고 있다. [임현규 부대방송국장]

지난 4월 23일 우리 대학 운죽정 2층에서 우리 대학과 교대의 총장 및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통합합의서 서명식’이 열렸다. 양 대학 총장은 통합합의서에 서명하고 의견 수렴을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통합 체계를 발표했다. 심사를 통한 최종 통합 승인만을 앞두고 있는 ‘통합 부산대’는 2027년 3월 1일 출범을 목표한다.

통합 이후 두 대학은 새로운 이름을 갖게 된다. ‘부산대학교’라는 이름 아래 교대는 ‘연제캠퍼스(연제캠)’로, 부산캠퍼스는 ‘금정캠퍼스’로 불린다. 새로 통합할 교대 역시 우리 대학 부산캠과 같은 시 단위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구 단위의 명칭이 부여된 것으로 보인다.

연제캠은 교육 기능을 집약한 ‘교육특화 캠퍼스’이자 ‘오픈 캠퍼스’로 조성된다(<채널PNU> 2024년 4월 4일 보도). 교대는 우리 대학의 16번째 단과대학인 ‘교육대학’으로 재편되며, △교육특화총괄본부 △교육연수원 △평생교육원 △교육대학원 등 교육 관련 기관이 모두 연제캠에서 통합 운영된다. 아울러 부산 시민들의 접근성이 높은 현재 교대 부지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해 일반 시민들도 캠퍼스를 이용할 수 있는 ‘오픈 캠퍼스’로의 구축이 논의됐다. 기존 통합까지 논의됐던 산학협력단 역시 연제캠으로 이전 결정됐다.

이렇게 최종 결정된 통합 계획은 교육부 심사 절차를 거쳐 올해 말에서 내년 초에 승인이 완료될 예정이다. 양 대학 총장을 공동위원장으로 하는 통추위는 승인이 완료되면 곧바로 세부적인 이행 계획을 마련하고 교육부장관과 통합대학 총장 간의 이행협약을 체결할 계획으로 밝혔다. 통추위는 지난해 11월 출범 이후 총 7차례에 걸쳐 △통합 목적 및 특성화 계획 △대학 운영 체제 개편 △학사구조 개편 △교육여건 개선 △연차별 소요 예산 △기존 각 대학에 대한 조치 계획에 대한 논의를 이어왔다.

이날 서명식에서 우리 대학 차정인 총장은 “부산대와 부산교대 통합의 의미는 넓고도 깊다”며 “지역 및 산업과의 협력을 통한 담대한 혁신은 통합 부산대를 전 세계가 인정하는 글로벌 혁신 대학으로 성장시키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교대 박수자 총장은 “교원 양성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집적화한 연제캠은 미래역량을 갖춘 교원 양성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교육의 현안을 해결하고,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개발해 부산이 세계적인 미래교육도시로 발전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