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때 부산 핵심 상권이었지만
-부산대학로 상권 공실률 최고
-7일 공청회와 지정 심의 남아
-자율상권조합 결성돼 기대감

침체된 부산대학로 상권을 살리기 위한 ‘자율상권 활성화 사업’이 첫발을 내디뎠다. 우리 대학 부산캠퍼스가 자리한 상권이 자율상권으로 지정되면 각종 지원책이 시행될 수 있어 상권 활성화가 기대된다.

부산대 앞 상점이 즐비해 있는 금정로60번길에 부산대상권 자율상권활성화구역 연구가 착수됐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유승현 보도부장]
부산대 앞 상점이 즐비해 있는 금정로60번길에 부산대상권 자율상권활성화구역 연구가 착수됐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유승현 보도부장]

1일 부산 금정구청의 ‘부산대 활성화 계획 수립 용역’을 담당하는 한국유통과학연구소(연구소)는 오는 7일 금정구청에서 부산대학로 자율상권 활성화 사업 공청회가 열린다고 밝혔다. 자율상권 활성화 사업은 2022년 제정된 ‘지역상권 상생 및 활성화에 관한 법률(지역상권법)’에 따라 상인과 지역 주민들이 상권 운영을 주도하고 정부와 지자체가 사업 추진에 필요한 재정·행정적 지원을 지원하는 제도다.

한때 부산 핵심 상권으로 꼽힌 부산대학로는 올해 2분기 공실률이 부산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며 쇠퇴했다. <채널PNU>는 각종 기획 기사와 영상 보도를 통해 ‘부산대학로의 위기’를 다각도로 보도한 바 있다. 구는 지난 8월 ‘부산대 활성화 계획 수립 용역’에 착수해 연말까지 마무리할 계획을 내놨다.

공청회 후 부산시 심의를 거쳐 부산대학로가 자율상권 구역으로 지정되면 상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혜택이 주어진다. 지역상권법 시행령에 따르면 △상생 협약으로 정하는 비율 이내 임대료 인상 제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등록 혜택 △부설주차장 설치 특례 등이다. 연구소 측은 “자율상권 구역 지정으로 부산대 상권이 온누리상품권 사용처가 된다면 온누리상품권 할인 등으로 보다 저렴한 가격에 제품 구매가 가능해 매출 증대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10월 4일에는 △상인 △임대인 △토지소유자 △지자체 △공공기관 등의 특별조합원으로 구성된 ‘부산대학로 자율상권조합’이 결성됐다. 부산대학로가 자율상권으로 지정되려면 지정 지역의 △상인 △임대인 △토지소유자 각 2/3 이상의 동의를 얻어 지자체에 사업을 신청해야 하기 때문이다.

자율상권조합이 결성됨에 따라 상권 활성화를 위한 교류가 원활해질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기존 상인회가 유명무실해져 민관 소통이 쉽지 않았다. 연구소 측은 “과거엔 상권마다 상인회장이 있어 상권 살리기를 위한 자체적인 노력이 이뤄진 반면 팬데믹 이후 소비 트렌드가 많이 바뀌고 소상공인이 어려워지다 보니 상인회 결속이 약해졌다”고 말했다.

동시에 기존에 상권별로 분산됐던 부산대학로의 상인회를 하나로 아우르는 ‘부산대상가총연합회’가 결성됐다. 연합회는 오는 6일 오후 2시 창립총회와 발대식을 진행하고 향후 상인 간 결속 강화를 위한 활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채널PNU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